변변한 건물 하나 없는 오지(奧地)에서 자란 건축가가 세계 건축계 정상에 올랐다. 미국 하얏트재단은 15일(현지 시각) 아프리카 부르키나파소 출신 건축가 디에베도 프랑시스 케레(57)를 2022년 프리츠커상 수상자로 선정했다. 프리츠커상은 1979년 프리츠커 가문이 하얏트재단을 통해 제정한 건축상으로 ‘건축계의 노벨상’으로 불린다. 43년 만에 첫 흑인 수상자가 탄생했다. 백인, 남성 중심 문화가 여전히 공고한 건축계에선 파격적 수상이다.
케레는 건축의 개념조차 생소한 아프리카에서 지역 주민과 함께 토착 재료로 학교 등 공공시설을 만들어 ‘사회적 건축’을 실천해온 건축가다. 이름 들으면 누구나 알만한 거창한 작품은 없지만, 건축 사각지대에 있는 이들의 삶의 질을 높이는 의미 있는 건물을 만들어 왔다. 프리츠커상 심사위원단은 “케레는 건축가이자 봉사자로서 세상의 관심이 미치지 못하는 지역에 사는 수많은 이의 삶과 경험을 개선해 왔다”며 “건축이 대상이 아니라 목적이며, 생산이 아니라 과정이라는 사실을 일깨웠다”고 평했다.
그의 인생은 한 편의 영화다. 아프리카에서도 최빈국 오지 출신. 전기, 수도는커녕 학교도 없었다. 일곱 살 때 촌장이던 아버지가 그를 학교에 보내려 옆 마을 친척 집으로 보냈다. 까막눈 아버지는 아들이 글을 깨쳐 편지를 읽고 쓸 수 있길 바랐다. 그렇게 마을 역사상 첫 ‘학생’이 탄생했다. 하지만 옆 동네 학교도 열악하긴 마찬가지. 시멘트로 대충 지은 교실에 100여 명이 몰려 콩나물시루 같았다. 어린 소년은 언젠가 제대로 된 학교를 짓겠다고 다짐했다.
스무 살에 전환점을 맞는다. 학업을 마치고 목수로 일하다가 장학생으로 선발돼 독일 베를린의 목공 기술 견습 프로그램에 참여했다. 이후 독일에 머물며 서른 살에 베를린 공대 건축학과에 입학한다. 졸업 후 독일에 정착했지만 그의 가슴은 늘 가난한 고국을 향했다.
1998년 고향 마을 간도(Gando)에 학교를 지으려 재단을 만들었다. 이를 통해 2001년 첫 작품 ‘간도초등학교’를 설계했다. 마을 주민을 모아 땅에다 도면을 그려 과정을 설명하고, 지역 재료인 진흙을 썼다. 여인들은 항아리로 물을 길어 나르고 아이들까지 돌을 날랐다. 이 작품으로 ‘아가 칸 건축상’(2004)을 타면서 국제적 명성을 얻었다.
이후 말리국립공원, 케냐의 스타트업 라이언스 캠퍼스 등을 설계했다. 2017년엔 스타 건축가들의 필수 코스로 여겨지는 런던 서펜타인 파빌리온 프로젝트 건축가로 선정됐다.
케레는 수상 소감에서 “부자라는 이유로 물질을 낭비해선 안 되고 가난하다는 이유로 좋은 품질을 만들려고 노력하지 않아선 안 된다”며 “누구나 좋은 품질, 고급스러움, 편안함을 누릴 자격이 있다”고 말했다.
'스크랩-간직하고 싶은 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명륜동 ‘고석공간’ (0) | 2022.01.06 |
---|---|
풀에게 (0) | 2020.12.02 |
천재 해커 출신 대만 디지털 장관 "내 일은 국민 목소리를 듣는 것" (0) | 2020.08.31 |
요요적적 (0) | 2020.08.28 |
서울대 의대 코로나19 웨비나, 대만 성공사례 발표 (0) | 2020.08.26 |